제미니? 제미나이? Gemini 한글 표기, 뭐가 맞을까?

구글 Gemini, 우리는 왜 발음이 헷갈릴까?
요즘 구글의 생성형 AI 서비스인 Gemini가 주목받으면서, 온라인에서는 '제미나이'냐 '제미니'냐를 두고 혼란이 많아졌습니다.
심지어 언론 기사에서도 두 표기가 혼용되고 있죠. 그럼 과연 한글 맞춤법 기준에서 맞는 표기는 무엇일까요?
제미니? 제미나이? 국립국어원의 입장은?



국립국어원은 2024년 11월, 온라인 질의응답을 통해 다음과 같이 답했습니다.
Gemini는 '제미니'로 심의된 바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즉, 제미니는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 심의에서 권장된 표기지만, 법적으로 고시된 공식 표기는 아닙니다.
영어 원어민 발음(Gemini [ˈdʒɛmɪnaɪ], 제미나이)과는 다르지만요.
그런데 왜 제미나이로 읽는 사람이 많을까?
이건 간단합니다. 영어 원어민 발음이 제미나이이기 때문이에요. 실제로
- 미국 내 구글 본사 직원들은 제미나이로 발음하고
- 구글코리아도 공식 영상 등에서 제미나이로 말하며
- 영어 발음에 익숙한 개발자, IT 유저들도 제미나이를 선호
다만 '제미니'는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심의 기준에 따라 심의된 적은 있지만
이를 공식적으로 이것만 써야 한다고 고시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발음은 제미나이, 표기는 제미니가 권장되는 흐름이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표기와 발음을 구분하자
혼동하지 말아야 할 것은, 표기는 제미니가 맞고, 발음은 제미나이가 원어민 기준이라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Nike를 나이키라고 쓰지만, 발음은 [나이키이]에 가깝죠. 비슷한 맥락입니다.
핵심 요약 표
항목 | 내용 |
영어 원어민 발음 | 제미나이 (Gemini [ˈdʒɛmɪnaɪ]) |
국립국어원 표기 | 제미니 |
한국 내 사용 경향 | 초기엔 제미니 → 점점 제미나이로 변화 중 |
공식 권장 표기 | 제미니 |
아직도 좀 헷갈리시죠? 저도 찾아보다가 너무 혼란스러웠어요.
처음엔 제미나이로 알고 있었는데 기사엔 제미니로도 쓰고, 또 영산에선 제미나이로도 나오고...
그래서 저 나름대로 정리해봤습니다.
국립국어원의 답변과 실제 사용 흐름을 종합해 보면, 아래 표처럼 정리할 수 있어요.
구분 | 표기(글자) | 발음(소리) |
국립국어원 기준 | ✅ 제미니 | ❌ 제미나이 |
구글 본사/영어권 기준 | ❌ 제미니 | ✅ 제미나이 |
한국 공식 문서에 쓸 땐 | 👉 제미니 | |
실제로 말할 땐 | 👉 제미나이라고 해도 됨 |
정리하자면, 발음은 제미나이
국립국어원 외래어 심의에 따른 표기는 제미니입니다.
둘 다 상황에 맞게 구분해 쓰는 게 자연스럽겠죠.
마무리: 표기 혼용, 당분간은 계속될 듯



결국 제미니 vs 제미나이 논란은 표기와 발음의 괴리에서 비롯된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언론, 기업,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혼용이 되겠지만, 공식 문서나 보도자료를 작성한다면 국립국어원이 인정한 제미니 표기를 사용하는 것이 맞겠죠.
어떤 표기를 쓰든 중요한 건 그 내용을 이해하는 것!
앞으로도 다양한 AI 기술이 등장하면서 비슷한 사례가 많아질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제미니와 제미나이, 어떤 표현이 더 익숙한가요?
더 많은 합격노트 알기
장조 단조가 아니라 장쪼 단쪼가 맞는 발음이라고요?
장조 단조? 진짜 발음은 장쪼 단쪼라는 사실, 알고 있었나요?모두가 장조 단조로 배운 줄 알았는데음악 시간에장조, 단조라고 배우신 분들? 저도 당연히 그게 맞는 말인 줄 알았어요. 장쪼, 단쪼
1974-wayhome.tistory.com
국토지리정보원 지도 다운로드, 항공사진 활용법 (2025 최신판)
국토지리정보원 지도 다운로드, 항공사진 활용법 (2025 최신판)지도는 검색하는 게 아니라, 설계하고 분석하는 것이다.이런 말, GIS나 공간정보 업계 종사자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그 중
1974-wayhome.tistory.com
2025 교원 성과급 총정리: 지급일, 금액, 등급기준
3월이 되면 학교 현장에서 가장 많이 오가는 이야기 중 하나가 바로 교원 성과급이죠.얼마 나올까, 내가 무슨 등급일까, 왜 난 항상 A등급일까… 같은 말들요. 그런데 올해는 유독 더 시끌시끌한
1974-wayhome.tistory.com
퇴직 후 우울감 극복하는 6가지 방법
퇴직 후 많은 사람이 예상치 못한 감정적 공허감과 우울감을 겪습니다. 오랜 시간 몸담았던 직장을 떠나면서 느끼는 상실감, 사회적 관계의 축소, 새로운 역할을 찾지 못한 불안 등이 복합적으
1974-wayhome.tistory.com
직장 내 인간관계 잘하는 법 7가지
직장에서는 단순히 업무 능력만 뛰어나다고 성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좋은 인간관계가 결국 승진과 커리어 성장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하지만 직장 내 인간관계는 가족이나 친구 관계와 다릅니
1974-wayhome.tistory.com
'교양·상식·잡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고하셨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 왜 예의가 오해될까요? (3) | 2025.04.09 |
---|---|
장례 후 감사 인사말 예시 - 직장 동료에게 보내는 문자, 인사장 문구 모음 (0) | 2025.04.06 |
장례식장 예절 총정리: 절하는 법, 조문 인사말, 복장까지 실수 없이 (0) | 2025.04.06 |
국토지리정보원 지도 다운로드, 항공사진 활용법 (2025 최신판) (0) | 2025.04.04 |
장조 단조가 아니라 장쪼 단쪼가 맞는 발음이라고요?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