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상식·잡학 정보

장례식장 예절 총정리: 절하는 법, 조문 인사말, 복장까지 실수 없이

by 루틴마스터 2025. 4. 6.

장례식장 예절, 이렇게만 하면 실수 없다!

장례식장 방문 전 필수 예절을 확인하세요. 조문 순서, 인사말, 복장, 조의금 봉투 작성법까지 상세히 안내드립니다.

장례식장 절하는 방법, 조문 인사말, 복장, 조의금 봉투 쓰는 법까지 한 번에 정리!

조문은 예의의 시작입니다

누구나 장례식장을 찾게 됩니다. 하지만 막상 상가에 도착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우왕좌왕하는 경우가 많죠. 장례식장 예절은 고인을 향한 마지막 예의이자, 유가족에 대한 배려입니다. 꼭 어렵게 생각하지 않아도 되니 아래만 기억하세요.

1. 장례식장 절하는 법과 조문 순서

장례식장은 고인을 마지막으로 배웅하는 자리입니다. 무엇보다도 조용하고 정중한 태도가 가장 중요하며, 아래 예절 순서를 따라주면 실수 없이 조문할 수 있습니다.

  • 빈소에 들어서면 상주에게 가볍게 목례합니다.
  • 영정 앞에서 헌화 또는 분향을 합니다. (서서 진행해도 무방)
  • 잠시 묵념 또는 고개 숙여 인사
  • 절은 2번, 생략 시 가볍게 목례해도 괜찮습니다.
  • 상주에게 절 1번, 다만 상황에 따라 가볍게 목례만 해도 무방합니다.
  • 조의금 봉투는 부의함에 넣고 조용히 퇴장합니다.
※ 절할 때는 공수법 주의: 평상시에는 남자 왼손 위 / 여자 오른손 위지만, 장례식에서는 반대로 남자 오른손 위, 여자 왼손 위입니다.

✔ 현대식 장례 예절은 이렇게 다릅니다

처음 가는 조문,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면

구분 전통식 현대식
입장 인사 공손한 큰절 가볍게 목례
분향/헌화 무릎 꿇고 분향 또는 서서 헌화 또는 분향
묵념/절 절 2번 또는 묵념 또는 목례

✔ 헌화와 분향, 실제로 이렇게 합니다

[헌화]

  • 입구나 영정 옆에서 흰 국화꽃 1송이를 집어 듭니다.
  • 꽃의 앞면이 영정 쪽으로 향하도록 헌화대 또는 꽃병에 꽂습니다.
  • 짧게 고개를 숙이거나 묵념을 한 후, 조용히 물러납니다.
  • 이후 순서에 따라 절2번 또는 묵례
  • 상주를 향해 절1번 또는 묵례

[분향]

  • 향은 1개만 집어 들고, 옆에 있는 초 또는 전기램프 불에 붙입니다.
  • 입으로 살짝 불어서 끄고, 향로에 수직으로 꽂습니다.
  • 묵념하거나 고개를 숙이고, 차분하게 퇴장합니다.
  • 이후 순서에 따라 절2번 또는 묵례
  • 상주를 향해 절1번 또는 묵례

※ 상황에 따라 헌화 또는 분향 중 하나만 준비된 곳도 있으니, 안내에 따라 유연하게 행동하면 됩니다.

2. 문상 인사말, 꼭 말해야 할까?

절하는 순서부터 인사말까지, 실수 없이 정리했습니다

상주에게 위로를 전하고 싶지만 어떤 말을 해야 할지 모를 때가 많습니다. 사실, 말보다는 진심 어린 절이나 묵념이 더 큰 위로가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인사를 해야 하는 자리라면 이렇게 표현해보세요.

  • 공통 :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 부모상 : "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망극한 일을 당하셔서…"
  • 아내상 : "얼마나 섭섭하십니까", "고분지통이라 했지요…"
  • 자녀상 : "참척을 당하셔서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3. 문상 갈 때 복장 어떻게 입어야 할까?

무채색 계열이 기본입니다. 너무 튀지 않는 게 중요해요.

남성

  • 검정, 감색, 회색 계열 정장
  • 흰 셔츠 + 검정 넥타이
  • 검정 구두, 검정 양말

여성

  • 검정 상의 + 검정 스커트
  • 검정 스타킹 + 구두
  • 화장은 연하게, 장신구는 생략

학생

  • 교복 또는 무채색 옷 착용
  • 모자, 캐릭터 옷은 피함

4. 조의금 봉투 쓰는 법 (실제 예시)

복장, 조의금 봉투, 조문 순서까지 한눈에

조의금 봉투 앞면엔 보통 ‘부의(賻儀)’라고 씁니다. 그 외에도 ‘근조(謹弔)’, ‘조의(弔儀)’ 등도 가능합니다.

조의금 봉투 예시

  • 봉투 앞면 : 부의(賻儀)
  • 단자 작성 : ‘금 50,000원’ (※ ‘일금 ○○원정’은 틀림)
  • 이름 뒤 : 아무것도 안 써도 되지만, ‘근정(謹呈)’ 또는 ‘근상(謹上)’ 사용 가능
  • 조의금 전달 : 상주에게 직접 주지 않고, 부의함에 넣는 것이 예의
단자란? 이 돈은 얼마고, 누가 보냈는지 적는 종이.
흰 종이에 간단히 적기 → 예시: 금 50,000원 / 홍길동 근정(謹呈)
꼭 단자 종이가 없으면 깨끗한 흰 A4 종이 잘라서 써도 OK!
절대 “일금 ○○원정”이라고 쓰지 마세요!(이건 영수증에 쓰는 표현)

5. 종교별 장례 예절은 이렇게 달라요

조문할 때 자신의 종교보다는 상가의 장례 방식을 따르는 것이 기본 예의입니다.

  • 불교식 : 분향 + 합장 묵념
  • 기독교식 : 헌화 + 묵도
  • 천주교식 : 성호를 긋고 묵상

6. 절대 해서는 안 되는 행동

형식보다 마음이 먼저지만, 기본 예절은 지켜야겠죠

  • 크게 웃거나 떠드는 행위
  • 고인의 사망 원인을 유가족에게 묻는 것
  • 눈에 띄는 복장, 진한 향수
  • 상주와 지나치게 오래 대화하기

장례식장 예절, 결국은 마음입니다

조문 예절은 형식보다 마음이 먼저입니다. 절을 몇 번 했는지, 향을 피웠는지보다 그 순간, 고인을 향한 진심과 유족을 향한 배려가 더 중요하니까요.

장례식장에서는 누구나 어색할 수 있습니다. 그럴수록 당황하지 않게, 실수하지 않게, 서로를 조금 더 배려하는 마음이 결국 예의가 되는 것이 아닐까요.

이 글이 장례식장을 처음 찾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장례 후 감사 인사 예문이 궁금하다면

장례 후 감사 인사말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