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상식·잡학 정보

알덴테? 알단테? 배두나 배우가 말한 진짜 발음, 알고 계셨나요?

by 루틴마스터 2025. 4. 11.

알덴테? 알단테? 배두나 배우가 알려준 진짜 발음, 알고 계셨나요?

파스타 제대로 삶고 계신가요? 너무 많은 콘텐츠에서 잘못 발음하고 있는 이것! '알덴테'와 '알단테' 사이에서 헷갈리셨다면, 확실히 정리해드립니다.

알단테? 알덴테? 뭐가 맞냐고요?

파스타 좋아하시나요? 저는 면 요리를 꽤 자주 해먹는 편인데요, 삶을 때마다 꼭 떠오르는 단어가 있어요. 바로 알덴테(al dente)죠.

그런데 주변에선 "알단테"라고 하는 사람이 너무 많고, TV에서도 그렇게 말하길래, '내가 잘못 알고 있었나?' 싶었던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어요. 특히 요리 프로그램이나 유튜브 요리 채널에서도 "알단테로 삶아야죠~" 하는 걸 수없이 들었거든요.

배두나의 한마디, 내 속이 다 시원했다

겉은 부드럽고 속은 톡- 알덴테의 매력, 이제 정확히 알고 먹자!

그러던 중, 얼마 전 tvN 알쓸별잡:지중해를 보다가 2회 시칠리아편에서배두나 배우가 파스타 이야기 중에 정확히 "알덴테"라고 발음하는 걸 들었어요. 와...! 드디어 누가 제대로 말하는 구나...

그 짧은 순간이었지만, 진짜 속으로 박수쳤습니다. 너무 많은 콘텐츠에서 잘못 말하던 와중에 제대로 발음해줘서 속이 다 시원했다는 느낌이었어요.

사담이지만 잡지 나올 때부터 엄청 좋아했었는데 이번에 티비에서 보게 되어서 더 좋기도 했습니다!

알쓸별잡:지중해

두나님 보러가기

알덴테 알단테 도대체 뭐가 맞는 말일까?

정답은 알덴테(al dente)입니다. 이건 이탈리아어로 '이에 닿는 정도로 단단한'이란 뜻이에요. 파스타나 리조또를 겉은 익었지만 속은 살짝 단단하게 조리하는 상태를 말하죠.

즉, "알덴테로 삶는다"는 말은 적당히 덜 익혀서 탄력 있게 먹는다는 거예요.

잘못된 표현, '알단테'가 왜 퍼졌을까?

알단테 아니고 알덴테! 배두나 덕분에 더 당당해졌어요.

  • 이탈리아어 발음에 익숙하지 않다 보니, 영어식으로 왜곡되거나 음절이 바뀌어 '단테'처럼 들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 국내 방송, 유튜브, 블로그 등에서도 '알단테'라는 표현이 너무 많이 쓰이다 보니, 잘못된 정보가 자연스럽게 퍼졌죠.
  • 사실 요리사 중에서도 무심코 그렇게 말하는 경우도 있답니다.

알덴테로 삶는 법, 간단 정리

종류 설명
일반 삶기 포장지에 적힌 시간 그대로 익힘 (대체로 푹 익음)
알덴테 포장지 시간보다 1~2분 덜 삶기. 씹으면 중심이 살짝 단단함

정리하자면...

파스타 한 젓가락에 담긴 발음 하나, 알고 보면 더 맛있어진다.

✔️ 정확한 표현은 알덴테(al dente)입니다.
✔️ '알단테'는 대중적으로 퍼진 잘못된 표현이에요.
✔️ 배두나님처럼 정확히 말해주는 사람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우리 모두 음식도 제대로 알고, 맛도 정확히 느끼는 사람이 되면 좋겠죠? 다음에 누가 "알단테"라고 하면, 오늘 배운 내용 살짝 알려주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그게 뭐 안 중요하다면 그런 거겠지만요.😉

al dente 설명 및 발음 비교 (이탈리아 요리 위키)
Wikipedia – Al dente


🔍 함께 보면 좋은 글

 

수고하셨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 왜 예의가 오해될까요?

수고하셨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 왜 예의가 오해될까요?"수고하셨습니다.", "고생 많으셨어요."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아주 익숙한 인사말이죠.그런데 요즘은 이 말을 두고 윗사람에게 써도

1974-wayhome.tistory.com

 

Gemini 한글 표기, 제미니 vs 제미나이 뭐가 맞을까?

제미니? 제미나이? Gemini 한글 표기, 뭐가 맞을까?구글 Gemini, 우리는 왜 발음이 헷갈릴까?요즘 구글의 생성형 AI 서비스인 Gemini가 주목받으면서, 온라인에서는 '제미나이'냐 '제미니'냐를 두고 혼

1974-wayhome.tistory.com

 

장조 단조가 아니라 장쪼 단쪼가 맞는 발음이라고요?

장조 단조? 진짜 발음은 장쪼 단쪼라는 사실, 알고 있었나요?모두가 장조 단조로 배운 줄 알았는데음악 시간에장조, 단조라고 배우신 분들? 저도 당연히 그게 맞는 말인 줄 알았어요. 장쪼, 단쪼

1974-wayhome.tistory.com

 

아침형 인간 vs 올빼미족 – 누가 더 성공할까?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 아침형 인간이다? vs 야행성 인간이 창의력이 더 높다? 우리는 흔히 아침형 인간(얼리버드)이 성공 확률이 높다고 생각하지만, 올빼미족(야행성 인간)도 충분히 생산적이고

1974-wayhome.tistory.com

 

회사에서 절대 티내면 안 되는 7가지 | 직장 생활 생존 가이드

직장 생활을 하면서 솔직한 것이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오히려 불필요한 오해를 사거나 신뢰를 잃을 수 있는 행동들이 있습니다.회사에서는 적절한 감추기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직장 생

1974-wayhom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