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자기계발·입사 정보

말이 안 통하는 상사의 6가지 특징, 왜 직장 소통이 끊길까?

by 루틴마스터 2025. 4. 11.

왜 내 상사는 말을 저렇게 할까?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이상하게 말이 안 통하는 상사가 꼭 있습니다. 분명히 같은 한국어인데도, 회의 후에도 뭘 어떻게 해야 할지 감이 안 잡히고, 간단한 보고도 괜히 긴장되게 만드는 말투와 반응들...

혹시 이런 상사와 일하고 있다면, 지금부터 소개할 말 못하는 상사의 특징 6가지를 보며 "아, 우리 부장님 얘기잖아..." 하고 고개를 끄덕이게 될지도 모릅니다.

말 못하는 상사 6가지 특징

말은 했는데, 아무도 무슨 말인지 몰랐습니다.

1. 말이 너무 추상적이다

"좀 더 열정적으로", "능동적으로 일해봐", "주도적으로 해" 이 말들, 정확히 뭘 어떻게 하라는 건지 감이 오시나요? 행동 지시가 모호한 상사는, 듣는 입장에서 뭘 고쳐야 하는지 알 수 없게 만듭니다.

2. 일방통행형 화법을 쓴다

피드백이 아닌 통보, 질문 없는 회의, "일단 그렇게 해" 듣는 사람의 입장 없이 혼자 말하는 상사는 소통이 아닌 발표를 하고 있습니다. 결국 의견을 묻는 척하지만, 결과는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죠.

3. 부정적인 뉘앙스를 기본값으로 쓴다

"이게 이거밖에 안 되냐?", "내가 하라는 대로만 하지 그랬어" 업무 피드백보다 감정 상하게 만드는 말, 정말 피곤하죠. 이런 상사는 직원을 동료가 아닌 하위 존재로 대하는 말습관을 가졌을 확률이 높습니다.

이런 말투, 팀원의 입을 닫게 만듭니다.

말 한마디가 상처가 되는 이유 – 사회적 평가 위협

직장에서는 단순한 피드백조차도 때때로 위협처럼 들립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사회적 평가 위협입니다.

이는 누군가가 나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거나, 조직 내 신뢰를 잃을 수 있다는 불안감에서 비롯된 심리적 압박입니다. 특히 상사의 말 한마디가 이런 위협으로 작용하면, 직원은 방어적으로 굴거나 대화를 피하게 됩니다.

💬 상사의 발언 🔍 어떤 위협인가?
"요즘 너 소문 안 좋더라" 조직 내 평판을 암시하며 불안 유발, 신뢰 저하
"그걸 몰라? 몇 년 차인데?" 능력 자체를 부정하는 발언으로 자존감 위협
"너 때문에 프로젝트 분위기 안 좋아졌대" 팀 분위기를 대표로 몰아가며 개인을 고립시킴

이런 말들은 단순한 잔소리처럼 들릴 수도 있지만, 듣는 입장에서는 비공식적인 평가로 인식됩니다. 결국 사람은 입을 닫고, 소통은 멈춰버리게 되죠.

💡 기억하세요: 말은 정보가 아니라 신호입니다. 상대에게 나는 안전한가?를 묻는 신호죠.

4. 칭찬은 없고, 비판만 많다

작은 실수 하나엔 30분 피드백, 성과는 넘어가는 상사. 직원들은 점점 말수가 줄어들고, 보고조차 두려워집니다. 칭찬이 인색한 리더는 조직 분위기를 무겁게 만들어요.

5. 자기 말만 옳다고 생각한다

"내가 해봐서 아는데" "너네는 아직 몰라서 그래" 이 말에 막히면 더는 어떤 말도 통하지 않습니다. 경험주의 상사는 의견을 받아들이는 유연성이 부족하죠.

6. 감정 기복이 말에 드러난다

회의할 때 표정이 늘 변하고, 말투로 기분이 전달되는 상사. 오늘은 웃으며 말하다가도 내일은 정색하며 지적합니다. 그 결과, 직원들은 말을 걸기 전에 눈치부터 보게 됩니다.

이런 상사와 어떻게 대화할 수 있을까?

말 못하는 상사 밑에서 자라는 건, 눈치와 피로뿐입니다.

완벽한 상사는 없습니다. 하지만 소통을 단절시키는 상사에겐 명확하게 질문하기, 감정적 반응 피하기, 서면 기록 남기기 같은 전략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열정적으로 하라고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을 강화하면 좋을까요?" 이런 식으로 구체화를 유도하는 질문은 상사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그리고 회의 후 꼭 기록을 남기고, 메신저나 메일로 정리해 공유하세요. 나중에 불필요한 오해나 책임 전가를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말 하나로 이렇게 다릅니다 - 상사 표현 비교

말 못하는 상사의 표현 좋은 리더의 표현
"그걸 왜 그렇게 했어?" "그 선택을 하게 된 이유가 궁금해요."
"이게 이거밖에 안 돼?" "이 부분을 더 보완할 수 있을까요?"
"말귀 못 알아듣냐?" "혹시 내가 설명을 복잡하게 했을까요?"
"너 때문에 망한 거야." "이 결과에 대해 함께 원인을 돌아볼까요?"

자주 묻는 질문 (Q&A)

Q. 말 못하는 상사 밑에서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A. 감정적으로 맞받아치기보다는, 구체적인 질문으로 상사의 말에 의미를 되묻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예: 좀 더 적극적으로 하라는 건 어떤 방식으로요?

Q. 상사의 말이 늘 모호하거나 비꼬는 말투예요. 참아야 할까요?
A. 참기만 하는 건 오히려 자기감정에 상처를 줍니다. 반복되는 언행은 기록해 두고, 필요시 HR 상담도 고려해보세요.

Q. 말 못하는 상사와 일하면서 자존감이 떨어졌어요.
A. 당신의 문제가 아닙니다. 애매하고 공격적인 말투는 누구라도 위축되게 만들어요. 외부 피드백이나 심리적 지원을 받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마무리하며: 말도 연습입니다

상사든 직원이든, 결국 말은 관계를 위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도구를 잘 다루려면 연습과 피드백이 필요하죠.

당신이 지금 말 잘 못하는 상사 밑에서 고생하고 있다면, 스스로 더 똑똑한 말 습관을 만드는 계기로 삼아보세요.

📎 관련글 보기

 

직장에서 말이 안 통하는 이유? 대화 단절을 부르는 6가지 최악의 말습관

왜 직장에서 말이 자꾸 끊길까?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 바로 직장입니다. 하지만 정작 가장 말이 어려운 곳도 직장이죠. 회의는 겉도는 이야기로 끝나고, 상사와는 말꼬리만 잡히고

1974-wayhome.tistory.com

 

수고하셨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 왜 예의가 오해될까요?

수고하셨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 왜 예의가 오해될까요?"수고하셨습니다.", "고생 많으셨어요."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아주 익숙한 인사말이죠.그런데 요즘은 이 말을 두고 윗사람에게 써도

1974-wayhome.tistory.com

 

연봉 협상 성공하는 법: 7가지 전략

연봉 협상은 단순한 대화가 아니라, 전략이 필요한 협상 기술입니다. 제대로 준비하고 접근하면 원하는 연봉을 받을 확률이 훨씬 높아집니다.오늘은 연봉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방법을 단

1974-wayhome.tistory.com

 

직장 내 인간관계 잘하는 법 7가지

직장에서는 단순히 업무 능력만 뛰어나다고 성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좋은 인간관계가 결국 승진과 커리어 성장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하지만 직장 내 인간관계는 가족이나 친구 관계와 다릅니

1974-wayhome.tistory.com

 

상사에게 신뢰받는 법 | 직장에서 인정받는 7가지 핵심 전략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능력만큼 중요한 것이 신뢰입니다. 아무리 실력이 뛰어나도 상사가 믿지 않으면 중요한 업무를 맡을 수 없고, 승진 기회도 줄어듭니다. 그렇다면 상사에게 신뢰를 얻으

1974-wayhome.tistory.com

✅ 당신의 커뮤니케이션 습관, 지금부터 바꿔보는 건 어떨까요?